Note

이 글은 디사이퍼의 위클리 세션을 듣고 작성된 글입니다. 노민섭, 허윤정 학회원의 “이더리움 Pectra & Fusaka Upgrade 톺아보기” 발표를 참고했습니다. (TODO)(미디엄 링크 연결 예정)

Pectra

EIP 7702

  • 새로운 트랜잭션 타입 도입
  • EOA를 Smart account로 전환하는 방법
  • 장점
    • ERC-4337과 다르게 Initcode를 사용하지 않아 불필요한 가스 비용을 줄임
    • Chain id를 설정해서 특정 체인에서만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
      • 0인 경우 모든 체인에서 사용 가능. 다른 EVM에서 한 번의 서명만으로 EOA를 smart account로 변환할 수 있음

EIP 7623

  • calldata의 gas를 40으로 증가
    •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calldata로 가스 리밋이 참
    • calldata 사이즈가 줄어듬
  • 최대 블록사이즈 및 블록사이즈 간 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
  • EIP 4844 동비 이전의 블록크기는 평균 150kb, 이후에는 100kb도 안됨
    • calldata 사용이 줄어서
  • 반면 블록 최대크기가 너무 큼 네트워크 안정성에 좋지 않아 calldata 영역을 줄이기로

EIP 7251

  • 최소 스테이킹양을 32이더로 유지하면서 최대유효잔액을 2048이더로 증가
  • Motivation
    • 32이더가 최대잔액이었기 때문에 그 이상은 여러개로 나눠 운영해야 했음
    • 이는 기존 이더리움 샤딩 디자인의 잔재이나, 현재 구조에서는 subcommittee의 구성원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함
  • 장점
    • 기존 밸리데이터 60%가 10개 주체에 의해 운영. attestation message의 수가 줄어들어 aggregation 비용 감소
      • SSF 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도움이 됨
    • 자체적으로 복리를 누리게 해줌
      • 출금 부하가 줄어듬
      • 출금 후 32이더를 쉽게 모을 수 없어 복리효과를 적게 누리던 단일 밸리데이터도 즉각적인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복리에 대한 불평등을 해소
      • 운영 비용 절감 및 키 관리 부담 감소

EIP 6110

  • 기존 Eth1 Data Poll
    • Eth1에서의 deposit에 대한 투표를 제안하기 위해 Eth1 Data object를 블록에 포함시킴
    • 최대 2048 블록동안 절반 이상의 프로포저의 표를 받아야 승인됨
    • 11시간 ~ 15시간의 오랜 시간이 걸림
  • 변경된 deposit
    • 절반 이상의 프로포저 표 2/3 밸리데이터 투표로 변경

Fusaka

EIP 7692

  • EOF(EVM Object Format)을 위한 하위 11개의 EIP 종합한 Meta EIP
    • EOF : EVM 컨트랙트 bytecode에 대한 container 포맷
    • 확장 가능하고 버저닝이 된다
  • Code validation을 배포와 동시에 하는 EIP(EIP 7692), 새로운 opcode 추가 등 다양함
    • 접근 가능한 스택 깊이를 늘려서 Stack too deep 에러를 없애주는 SWAPN, DUPN opcode

EIP 7594

  • PeerDAS
    • Blob을 대상으로 DAS를 구현
      • peer sampling을 통해 모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블롭 데이터를 검증하고, 네트워크에서 가용성을 보장
      • 나 이거 마음에 듬. 좀 더 알아볼 필요가 있음